직무 분석 스터디
- CRM 마케터란?
-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 마케터
-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= 결국 효율적으로 고객을 관리하는 방법이라는 뜻
- 고객 정보를 수집, 분석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한다. -> 이를 통해 매출 증대, 고객 만족도 향상에 기여
- CRM 마케터의 업무
- 고객 데이터 수집 및 관리
- 고객 정보를 수집, 분석, 분류하여 고객 데이터 품질을 관리한다.
- 고객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작업
- 고객 데이터 세분화(Segmentation): 나이, 위치, 구매 패턴,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그룹화.
- 마케팅 전략 개발
- 이메일, SMS, 앱 푸시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캠페인 설계
- 세분화된 고객 데이터를 이용해 타겟 마케팅 캠페인 기획
- 이때 신규 고객 유치와 기존 고객 유지(Retention) 전략 차별화
- 각 고객 상황에 맞는 개인화 마케팅 -> 효율 증대
- 고객 여정 설계
- 고객의 첫 접점(First Touchpoint)부터 충성도 구축까지 전체 여정을 설계.
- , 성과 분석 및 최적화
- 마케팅 활동의 성과 분석 후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.
- CRM 시스템 및 분석도구(태블로 등)를 활용해 성과 시각화 -> 리포트 작성, 공유
- 캠페인 성과 분석
- 핵심 지표(KPI): 클릭률(CTR), 전환율, 이탈률, 고객 생애 가치(LTV) 분석
- A/B 테스트
- 개선 & 최적화
- 캠페인 콘텐츠, 발송 시간, 타겟 그룹 등 지속적인 테스트 및 조정.
- 고객 이탈 방지를 위한 조기 경고 지표 활용(Churn Prediction).
- 고객 데이터 수집 및 관리
- 요구되는 핵심 역량
- 데이터 분석 능력
-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분석력이 필요하다.
- Google Analytics, Tableau, SQL 등 데이터 분석 도구에 대한 숙련도가 요구된다.
- 마케팅 도구 활용 능력
- 채널 운영 능력 - 소셜 미디어, SMS, 앱 푸시 등 멀티 채널 관리 및 통합.
- 트렌드 적응 능력 - 최신 디지털 마케팅 기술과 AI 기반 개인화 마케팅 도입.
- 고객 중심 사고
- 고객의 입장에서 사고하고, 그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전략을 설계하는 능력이 필요하다.
- 커뮤니케이션 스킬
- 효율적인 내부 협업과 고객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역량
- 고객과의 소통 능력 ->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 만족도 제고.
- 문제 해결 능력 -> 고객 불만 및 이슈에 신속히 대응하고 해결책을 제시.
- 데이터 분석 능력
'데이터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빅쿼리에 데이터 업로드 / Github 이용하기 (0) | 2025.01.21 |
---|